어드민 샘플가이드
자원관리 > 사용자관리
개요
- 어드민 시스템과 업무 시스템의 사용자 및 관리자의 계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.
- 사용자 관리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만 업무 시스템 혹은 어드민 시스템에 인증이 가능하다.
계정 활성화/비활성화
- [사용 여부]가 사용인 사용자만 로그인 할 수 있다.
- [사용 여부]가 미사용인 사용자가 로그인을 시도하면 ‘계정이 비활성화 되었습니다.’ 라는 에러메시지가 발생한다.
사용자 계정 잠김
- 로그인시 비밀번호를 잘못 입력한 횟수가 설정한 임계치(기본 10회)를 넘으면 계정이 잠긴다.
- 잠긴 계정은 ‘계정이 잠겼습니다.’ 라는 에러메시지와 함께 로그인이 불가하다.
- 계정이 잠기면 운영자가 사용자관리 메뉴에서 잠금을 해제 해야 로그인이 가능하다.
- 잠금을 해제하면 비밀번호 실패 카운트가 0으로 초기화 된다.
계정 만료
- 계정의 사용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,
- 로그인을 시도하는 계정이 [계정시작날짜]와 [계정종료날짜] 범위 밖에 있으면 ‘계정이 만료되었습니다’ 라는 에러메시지와 함께 로그인이 불가하다.
패스워드 만료
- 패스워드의 만료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.
- 로그인을 시도하는 계정이 패스워드 만료기간이 넘으면 ‘패스워드 기간이 만료 되었습니다’라는 에러메시지와 함께 로그인이 불가하다.
사용자 등록 및 수정, 권한 부여
-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수정할 수 있다.
- 사용자 등록 및 수정에서 권한을 바로 부여할 수 있다.
자원관리 > 사용자그룹관리
개요
- 사용자그룹을 조회, 생성, 수정, 삭제 관리할 수 있다.
- 사용자그룹 및 사용자매핑을 할 수 있다.
- 사용자그룹 간 상하관계를 트리구조로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, 상하관계를 지정할 수 있다.
- 그룹은 단순하게 정의(생성)만으로는 의미가 없으며 정의한 그룹에 사용자 매핑과 권한 매핑이 이뤄져야 실질적인 기능을 가진다.
- 정의한 그룹에 대한 사용자 매핑은 사용자 매핑 팝업에서 진행한다.
- 정의한 그룹에 대한 권한 매핑은 그룹 상세에서 진행한다.
- 정의한 그룹에 대한 상하관계는 그룹 상세에서 진행한다.
사용자그룹 등록 및 수정, 권한 부여
- 사용자그룹 정보를 등록하고 수정할 수 있다.
- 사용자그룹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.
사용자그룹 및 사용자매핑
- [사용자관리]에 정의된 사용자와 [사용자그룹관리]에 정의된 그룹에 대한 매핑을 할 수 있다.
-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은 그룹이 가지고 있는 모든 권한을 사용할 수 있다.
사용자그룹 상하관계 등록
- [사용자그룹관리]에 정의된 그룹간의 상하관계를 정의 할 수 있다.
- 그룹의 상하 관계는 단순히 그룹에 대한 상하관계를 나타낼뿐 권한과는 연관이 없다.(상위그룹이 하위그룹의 모든 권한을 가지는 개념이 아니다.)
- 그룹 상세 팝업에서 상위그룹아이디를 선택한 후 저장으로 작업을 완료한다.
- 데이터의 논리적 오류(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의 순환 발생 등)가 발생하는 관계는 등록되지 않는다.
자원관리 > 메뉴관리
개요
- 메뉴 간 상하관계를 트리구조로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, 상하관계를 지정할 수 있다.
- 메뉴를 조회, 등록, 수정, 삭제 관리할 수 있다.
메뉴 조회
- 메뉴는 왼쪽 트리메뉴를 클릭하거나, 오른쪽의 조회조건을 활용하여 조회할 수 있다.
- 트리메뉴를 클릭 하는 경우에는 클릭한 메뉴의 하위 메뉴가 조회 된다.
- 조회조건을 활용하여 조회하는 경우, 조회조건만 유효한 조회조건이 된다. 즉, 왼쪽 트리메뉴를 선택한 것은 조회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.
메뉴 등록 및 수정
메뉴 정보를 등록하고 수정할 수 있다.
- [메뉴 URI] 항목을 통해 메뉴의 진입 URI를 지정 할 수 있다.
- [상위메뉴ID] 항목을 통해 메뉴의 상하관계를 설정 할 수 있다.
- [도움말 경로] 항목을 통해 해당 메뉴에 대한 설명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다.
- 업로드 가능 파일 : pdf
- 최대 사이즈 : 1MB
- [메뉴 순서] 항목을 통해 메뉴의 나열 순서를 정할 수 있다.
- [메뉴스크립트] 항목을 통해 메뉴와 함께 나타나는 아이콘을 지정 할 수 있다.
자원관리 > 리소스관리
개요
- 리소스를 조회, 생성, 수정, 삭제 관리할 수 있다.
- 리소스는 모든 리소스(페이지,JS,이미지 등)에 접근하는 URI를 의미한다.
- 리소스는 단순하게 정의(생성)만으로는 의미가 없으며 정의한 리소스에 권한 매핑이 이뤄져야 실질적인 기능을 가진다.
- 정의한 리소스에 대한 권한 매핑은 [리소스권한관리] 메뉴에서 이어서 진행한다.
리소스 주요 설정
- 리소스(URI)에 대한 패턴을 정의한다. (Ant패턴)
- 리소스는 ‘리소스순서’에 의해 오름차순으로 정렬된다.
자원관리 > 공통코드관리
개요
-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공통 코드들을 관리한다.
- 정의된 공통코드는 공통코드 컴포넌트를 통해 사용된다. (개발가이드 참조)
- 대분류, 중분류, 소분류로 구분되어 있으며 좌측그리드는 대분류, 우측그리드는 중분류, 중분류의 행을 선택했을 때 노출되는 팝업은 소분류 공통코드를 관리할 수 있다.
- 공통코드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화면에서 코드를 표현하고자 하면 코드를 등록하게 되더라도 당장 코드를 표현할 순 없다. 실제로 시스템 화면에 각 코드에 맞는 다국어 처리된 값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행을 우클릭하여 다국어를 등록해야 된다. (미등록시 NULL로 노출된다.)
- 실제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값은 다국어로 등록한 값이 아닌 ‘실제값’이다.
자원관리 > 다국어관리
개요
- 기존 Properties파일을 통한 다국어 관리 외에도 어드민 시스템을 통한 데이스베이스 기반의 다국어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.
- Properties 파일의 다국어 관리 기능과 혼용해서 쓸수있으며 우선순위 및 자세한 설정 방법은 개발가이드를 참고한다.
국가/언어코드
- 그리드 우측 하단의 언어코드 관리를 통해 국가/언어 코드를 관리 할 수 있다.
- ISO표준 언어코드와 국가코드를 등록한다. 예) 일본언어코드 : ja / 일본국가코드 : JP
다국어 메시지 관리
- 등록한 국가/언어코드에 대한 다국어 메시지를 정의할 수 있다.
미등록 메시지
- 등록한 다국어 메시지 코드 중 미등록한 메시지가 있으면 알림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.
- 등록된 국가코드에 대한 모든 메시지를 등록 해야지만 알림이 사라진다.
자원관리 > 게시글관리
개요
- 어드민 시스템의 게시글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.
- 사이트 내 표출되는 게시글을 조회 및 등록, 수정,삭제 관리할 수 있다.
게시글 목록 조회
- 전체 검색 또는 검색조건 [게시글유형/제목/알림 시작일자/종료일자/등록자ID]를 통해 원하는 리스트를 특정 할 수 있다.
게시글 등록 및 수정
- 게시글 정보를 등록하고 수정, 삭제 할 수 있다.
- [게시글 유형] 항목을 통해 게시글의 유형을 선택 할 수 있다. 유형은 공통코드로 관리된다.
- [제목] 항목을 통해 게시글의 제목을 적용한다. 제목은 메인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.
- [메일발송여부] 가 체크되면 해당 게시글이 등록 및 수정될때 [받는사람]에게 메일로 공유된다.
- [공개여부] 항목을 통해 게시글 공개 여부를 선택 할 수 있다.
- [알림여부] 항목을 통해 메인화면 대시보드에 해당 게시글을 표출 할 수 있다.
- [알림 적용기간]을 선택하여 대시보드에 해당 게시글이 표출되는 기간을 설정 할 수 있다.
- [본문]은 markdown 또는 wysiwyg 형식의 에디터를 지원한다.
게시글 받는사람 관리
- 사용자 버튼 클릭 시 사용자 추가 및 제거 팝업이 호출되며 해당 화면에서 메일을 전송할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.
게시글 유형코드 관리
- 게시글 유형은 공통코드를 통해 추가/수정/삭제 관리한다.
메인화면 대시보드 알림 관리
- 게시글관리에 등록되고, [알림여부]가 체크된 항목은 메인화면 대시보드에서 확인 가능하다.
- 대시보드 알림 게시글은알림 적용일자에 오늘이 포함되어있어야 하며 등록일시 최신 기준으로 최대 4개까지 출력된다.
권한관리 > 권한등록관리
개요
- 사용자와 사용자 그룹에 부여할 수 있는 권한을 관리하는 메뉴이다.
- 권한을 조회, 등록, 수정, 삭제 관리할 수 있다.
권한 등록 및 수정
- 권한 정보를 등록하고 수정할 수 있다.
- 등록 시에는 검사 버튼을 통해 권한ID가 중복되었는지 필수로 확인 해야 한다.
- 권한ID를 수정하고 싶다면, 삭제 후 등록 해야 한다.
권한관리 > 권한상하관계등록
개요
권한의 상하관계를 관리하는 메뉴이다. 권한의 상하관계를 등록하면, 상위권한을 부여하는 경우에 하위권한까지 부여하게 된다. 권한상하관계를 조회, 등록, 삭제 관리할 수 있다.
- 메뉴 진입 시, 권한상하관계 목록이 왼쪽 그리드에 조회되며, 왼쪽 그리드에 조회된 권한ID를 클릭하면, 선택한 권한의 하위 권한 목록이 오른쪽 그리드에 조회된다. 이 때, 하위권한 목록에는 하위권한들의 하위권한도 포함된 경우, 소괄호( )를 통해 어떤 권한의 하위권한인지 설명을 포함한다.
- 새로운 상하관계 등록은 등록 팝업에서 할 수 있다.
권한상하관계 등록
- 등록팝업에서는 [상위권한ID]와 [하위권한ID]를 지정하여 새로운 권한상하관계를 등록 할 수 있다.
- [권한ID]와 [사용여부] 조회조건을 통해 권한목록을 조회하고, 조회된 권한을 선택하여 [상위권한ID]와 [하위권한ID]를 지정한다.
권한관리 > 메뉴권한관리(메뉴-권한)
개요
- 메뉴를 기준으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.
-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는 본인의 권한에 따라 메뉴 노출 여부가 결정된다.
- 예1) 사용자A는 권한B를 가지고 있다. 메뉴C는 권한B가 매핑되어 있기 때문에 A로 로그인 했을시 메뉴C가 노출된다. 권한B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용자D는 서비스에 로그인 하더라도 메뉴C가 노출되지 않는다.
- 예2) 사용자A는 그룹A’에 속해 있다. 그룹A’는 권한B를 가지고 있다. 메뉴C는 권한B가 매핑되어 있기 때문에 A로 로그인 했을시 메뉴C가 노출된다.
권한관리 > 메뉴권한관리(권한-메뉴)
개요
- 권한을 기준으로 메뉴를 부여할 수 있다.
- 사용성을 위해 메뉴가 분리되었을 뿐 이하 기능은 메뉴권한관리(메뉴->권한)과 동일하다.
권한관리 > 리소스권한관리
개요
- 각 리소스(URL)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과 버튼을 관리한다.
리소스에 대한 권한 부여
- 리소스관리 메뉴에서 등록한 리소스(URL)에 대해서 권한관리가 가능하다.
- 각 리소스에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해당 권한을 가진 사용자 혹은 사용자그룹만이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다.
시스템설정 > 로그인로그
개요
- 사용자별 시스템 접속 기록을 조회할 수 있다.
사용자별 접속 로그
- 서비스에 로그인하면 고유한 세션ID를 부여받는다. 때문에 한개의 세션ID(한 개의 행)는 한번의 로그인을 의미한다.
- 서비스 로그아웃에 대학 이력 또한 제공하며 로그아웃에 대한 정의는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. 사용자가 로그아웃 버튼을 클릭하였을 경우와 서버 세션의 타임아웃이 된 경우이다.
시스템설정 > 파일이력조회
개요
-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업로드/다운로드한 파일 이력을 조회할 수 있다.
파일업로드이력
-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업로드한 파일 이력을 조회할 수 있다.
-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파일업로드API를 사용해야 조회가 가능하며 자세한 API 사용법은 개발가이드를 참고한다.
파일다운로드이력
-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다운로드한 파일 이력을 조회할 수 있다.
-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파일다운로드API를 사용해야 조회가 가능하며 자세한 API 사용법은 개발가이드를 참고한다.
시스템설정 > 로그설정관리
개요
- 시스템의 로그 설정을 관리한다.
로거레벨 변경관리
- 서버 재기동 없이 각각의 로거에 대한 레벨을 메모리에서 변경 할 수 있다.
- 특정 로거의 행을 클릭하면 로그 레벨을 변경할 수 있는 팝업이 노출된다.
- 선택한 로거에 대해서 로그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.
Appender 목록
- 등록된 Appender 목록을 조회한다.
기타설정
- 로그설정 파일을 변경한다.
- 변경된 로그 설정은 파일뿐만 아니라 메모리에도 적재되어 서버 재기동 없이 반영된다.
시스템설정 > 예외처리관리
개요
- 시스템에서 발생한 상세 예외 이력을 보여준다.
-
시스템설정 > 개인정보로그관리
개요
- 개인정보를 취급한 사용 기록을 조회할 수 있다.
개인정보로그관리
- 누가 언제,누구들의 어떤 개인정보를 추가하고,읽고,수정하고,삭제했는지 이력 기록